1.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P 186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에는 10% 의식 + 90% 무의식이 작용한다.
중요한 점은 의식보다 무의식이 삶에 더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다.
결국 자동차로 보면 의식은 수동, 무의식은 자동 기어인 셈이다.
의식적으로 무언가를 통제하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무의식 자동으로 내가 쉬고 있을 때도 작동을 하는 것이다.
결국 무의식은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 자동화 시스템을 어떻게 훈련하고 작동하느냐에 따라 내가 이루고 싶은 꿈을 향해
90%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켈리최는 여기서 무의식을 나의 꿈을 향한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웰씽킹의 정수는 시각화다.
시각화를 훈련함으로써
무의식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P191
인간은 3초마다 새로운 생각 한다고 한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3초마다 한 번씩 무의식이 생각을 올려 보낸다.
잠재의식은 의식적인 생각보다 3만 배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잠재의식은 모든 순간을 기록하고 기억하기 때문에 , 일종의 알고리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의식적인 생각 보다 3만배 강한 잠재의식-무의식-자동화 시각화를 통해
잠재의식 속에 가힌 잘못된 정보를 정화시키기 때문이다.
하브에커의 '백만장자 시크릿'에서도
프로그래밍 된 생활양식, 무의식에 의해 생각이 결정되고 생각이 감정을 만들고 , 감정이 행동을 만들고, 그 행동/실천이 결과를 가져 온다라고 했다.
잘못 프로그램된 생활양식/무의식은 결국 잘못된 결과를 가져온다.
웰씽킹에서 켈리최가 이야기하는 시각화 방법을 알아보자
2. 시각화하는 6가지 방법
시각화 하는 방법은 6가지로 (채우기+비우기)
4가지는 채우기 시각화
1) 사회적 성공한 나의 청사진 시각화 (5분)
중장기 꿈을 이루었을 때 내가 가장 원하는 순간을 시각화한다. (청사진 만들기)
무엇을 하고 있는가?
당신 옆에 누가 있는가?
그 사람들과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내가 떠올린 성공한 순간의 감정을 메모하고 습관화하여 피부에 각인해야 한다.
한 장의 청사진
2) 인생 영화감독 시각화 (30~40분)
내가 주인공이 되어 인생의 전반적인 스트립트를 구성하는 시각화다.
한 장의 청사진에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붙이는 작업이다.
실패, 도전, 어려움 극복, 마침내 성공하는 모습을 아주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시각화하는 것이다.
3) 이상적인 하루를 보는 아침 시각화 (3~10분)
오늘 하루 일과를 시뮬레이션해보면 최상의 하루를 어떻게 하면 성공한 하루 될지 상상하고 시각화한다.
매일 하루 시작전 해 보기
4) 일을 이상적으로 그리는 긴장 시각화 (10초~3분)
순간이 작은 목표 (발표, 계약) 정말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실시하는 시각화다.
1분 동안 눈을 감고 내가 원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일이 진행되는 모습을 그려라.
2가지 비우기 시각화
5) 비우는 블랙홀 시각화 (1~2시간)
부정적인 잠재의식을 버리는 과정이다. 부정적 알고리즘을 바꾸지 못한다면 목표를 향해 가는 길이 고단하다.
집중해야 할 때 당신의 길을 막는 방해 요소들이 있다면 그때마다 블랙홀 시각화를 해야 한다.
내가 생각하는 방식은 결국 잠재의식에서 비롯한 무의식에 프로그래밍된 것에 따른 것이다.
부정적으로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다 하며 다 블랙홀로 흘려보내서 초기화시켜야 한다.
40대라면
10, 20, 30 대... 모든 인생의 사진을 버린다. 더 이상 이사진들에 대한 감정은 없다.
무의식과 잠재의식에 더 이상 지난날의 사진과 감정은 없다.
컴퓨터에 쌓인 쓸데없는 메모리와 파일들이 정리되는 것처럼, 머리가 가벼워지고 두뇌 회전도 빨리진 것을 알게 된다.
비워야 새로운 청사진, 이루고 싶은 꿈을 채울 수 있다.
6) 비우는 저녁 (3~10분)
블랙홀과 같은 비우기 과정이다. 매일 저녁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한다.
오늘 나에게 있었던 생각과 감저를 모두 비우는 것이다.
매일 저녁 하루를 비우는 시각화를 한 후, 다음 날 기상했을 때 하루를 이상적으로 보내기 위한 아침 시각화를 한다.
3. 웰씽킹의 정수 시각화를 보고
결국 시각화를 해야 하는 이유는 의식보다 3만 배나 더 강한 무의식, 잠재의식 세계를 이용하여 꿈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자동화하여 스스로 내가 잘 때도 , 의식하지 않을 때도 , 잠을 자면서도, 잠재의식에서 계속적으로 나를 위해 일을 하고 있을 것이다.
잠재의식을 내가 유리한 방향으로 세팅하는 방법은 켈리최는 6가지 시각화 방법을 통해
알려 주고 있다. 4가지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시각화하여 잠재의식 속에 채우기, 2가지 비우기를 통해 하드 포맷처럼 깨끗하게 비워
새로운 긍정적인, 나의 꿈에 대한 채움을 하기 위한 비우기 ,
결국 이런 방법들도 처음에는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계속 반복하고 지속해야 할 것이다.
최근 '몰입'의 저자 황농문 교수, '회복탄력성'의 저자 김주환 교수, '돈의 속성'의 김성호 회장,, '웰씽킹'저자 켈리 최까지
모든 공통적인 사항은 무언가를 바꾸기 위해서는 100일 동안 꾸준히 해야 변화가 찾아온다고 한다.
100이라는 숫자가 계속적으로 독서를 하면서 떠오르고 있다.
자기가 원하는 바를 매일 100번 소리 내어 선언하기
100일 동안 꾸준히 바꾸고 싶은 일을 루틴을 만들어 하기
내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하지 말아야 하는 3가지 고민하기
내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 당자 해야 하는 3가지
그 3가지를 정하고 100일 동안 지속, 반복 루틴 만들기 -> 습관화 -> 무의식, 잠재의식에 각인 -> 자동화
100일 project 3가지를 고민해 보고 있다.
핵심 가치 "가족, 성장, 용기, 건강, 부"에 해당하는 3가지 실천사항을 몰입을 통해 정해서 100일 동안 해 보려 한다.
'讀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서블] 일상기록을 통해 꿈을 현실로 만드는 법 -김익한 (0) | 2023.12.10 |
---|---|
몰입 -황농문 (1) | 2023.04.29 |
[독서중] 웰씽킹 '부를 창조하는 생각의 뿌리' (5) | 2023.04.20 |
돈의 속성 -김승호 (1) | 2023.04.13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이치로/고가 후미타케 (0) | 2023.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