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아이캔유튜브대학7

[3학기]10강 어려운 책 읽어내는 방법 ☑️ 이해 한다. 1. 익숙해 지기 칸트 : 선험적 인식 인식능력의 범위안에서 이해 가능 하다. 반복,계속 읽기를 통한 인지 능력의 사이즈 키우기 아는 만큼 보인다 2. 책읽는 방법 1) 눈운동 독서 2) 인내심, 지속성 20분 / 일 (최소 습관) 3) 작은 이해 / 깨달음에 기뻐하기 -동기 부여 📈인식능력 확장 3. 어려운 책의 유형 1) 감정선 미묘/예민 -> 익숙, 반복 2) 철학/경제 -> 기본 이론 먼저 선공부 후 읽기 3) 번역/필자 오류 -> skip 4. 어려운 책 읽는 기술 1) 자기화 (맥락화 읽기) -키워드 발췌 , 키워드 연결 하기 -장별로 읽기 -> 자기화 해 보기 -> 장별 만능 카드 만들어 보기 -쭈욱 읽기 -> 몰라도 쓰윽 ~ -> 이해 안되는 부분 재독 2) 선공부 후읽기.. 2023. 6. 2.
[3학기]3강 모둠 운영법 1. 모둠 기본 성공 3가지 1) 홀로 서기 2) 거리 두기 -cool trust 냉정한 신뢰 3) 성과 지향성 -모두의 관심 ☑️ 사랑, 공감, 환대 베이스로 접근 하기 2. 커뮤니케이션 의사 소통 행위론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의 장 1) 진실성 2)이해 가능성 -간단/명료 3) 규점적 정당성 4) 진리성 3.모둠의 종류 1) 고전적 커뮤니티 가족, 지역, 경험(직장), 지향(정치) 2) 현대적 커뮤니티 관심 공동체 관심 , 미션 프로젝트, 위안 공동체 on/off Line 주기적/비주기적 모둠은 친구가 아님 -> COOL TRUST 모둠이 조건 4가지 -생산적 상호 의존성 : 서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 -직접적 의사 소통 : 알기 쉽게 전달 소통 -심리적 편안함: 나이 쪽팔림을 보여 줄 수 있어야 한다.. 2023. 5. 14.
[3학기 8강]진정한 나로 홀로 서기 나다운 삶속의 '홀로서기' 3가지 조건 1. 나자신에 대한 믿음 2. 기본 성장 매커니즘 구축하기 3. 홀로 향유하기 홀로 제대로 설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진정한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이다. 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주관자로의 삶을 살 수 있다. ✅ 홀로서기 실전 check point 1. 혼자 있을 때 나는 어떤 느낌으로 무엇을 하지? 혼자 있을 때 오히려 그 시간을 무분별하게 의미 없이 보내는 경우가 많다.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은 끊임없이 절약하려 드는 바로 그 '시간'을 성공적으로 '죽일 때' 쾌락을 맛보는 그런 사람들이다 라고 이야기 했다. (1970년대 ...) 세월이 지나도 그건 마찬가지 인듯 하다. 평소에는 그렇게 시간을 아낄려고 하는데 ... 막상.. 2023. 5. 11.
2학기 zoom 수업 미움받을용기 발표하기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지정된 책을 읽고 줌수업 그룹 발표를 하게 된다. 어제 2학기 마지막 줌 수업 책은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 대화식으로 쓰여진 책이라 (청년/철학자 ) 쉽게 읽히고 청년에 나를 대입시켜서 보면 내가 궁금한 것들을 청년이 질문을 해주는 느낌이 들수도 있는 책이다. 1학기에는 개인사정으로 1번 참여 하였고 2학기에는 결과적으로 다 참여를 하게 되었다. 줌수업 일주일 전부터... 난 아들러 심리학에 따르면 참여안 할 목적을 가지고 구실을 찾고 있는 나를 계속 발견하게 되었다. 책을 제대로 꼼꼼이 못봤어, 골프 레슨이 있으니 거기 가야 해서 참석을 못해, 아이들이 저녁을 달라고 하니 챙겨 주고 집안일들을 하다 보면 참여를 못할 수 도 있어.... 계속 구실을 찾.. 2023. 3. 15.
6강 시간 활용법 공간, 의지, 행위 1. 짧은 시간 spot , 2. 긴 시간 3. 기억에 남는 시간 (과거) 현재 -> 기억속 시간으로 남는다. 경험한 시간 공간, 의지 , 행위 긴시간/짬시간 상관없이 -> 재정립 -> 기억은 동일 시간에 저장 재정렬된 기억에 남기기 위해 현재의 시간을 쓰고 있다. 시간 활용 1. 집중 , 이완 행위 40분(집중) / 쉼 20분 : 타이머 활용 정확히 멈춤/시작 4 타임 정도 -> 길게 쉼 가질 것, 2. 짬/긴 시간 짬 : 자기 긍정 힘 up , 집중도 높아짐 주기적/의식적 짬 시간 활용 : 출퇴근/명상/ 산책 -> 적극 활용 루틴 만들기 (시간/장소) 긴 시간 : 놀이 /쉼 계획적으로 오히려 쉬어야 한다. 3. 계획/무계획 계획 : 시험, 입시, 일상, 구체적 계획 필요 -> 계획.. 2023. 3. 7.
독서와 글쓰기 말하기 발표 I (GRIT 책읽고 말하기) 겨울 2학기 ZOOM 말하기 수업 그릿에 대해서 오늘 줌 발표 소모임을 가졌다. grit 책은 다 읽었으나 정리를 다하지 못해서 있는 대로 정리 후 발표을 하였다. 5기 동기분들의 소감 및 1학기에 비해 여유로운 줌 참여 모습 이었다. 열정과 결합된 끈기 , 의심적인 연습, 이타심,최상의 목표 (인생철학, 궁극적 관심) 설정 하기 등등 다들 열심히 하고 있다. 대부분 연령대는 40대 중반 이상인데 너무 열심히 참여를 하신다. 자극이 된다. 그릿을 가진 팀에 합류 하라가 맞다. 멘토를 어딘가에 찾아가 찾는 것도 힘든데 이렇게 온라인으로 김익한 교수님이라는 멋진 멘토가 생겨 너무 든든하고 행복하다. 나의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툴을 배우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 하나 하나 벽돌쌓기 처럼 쌓아 가면서 나의 생.. 2023. 2. 14.
i Can U 6강 시간 활용법 시간은 1. 스팟 시간 -짧은 시간 2. 롱테이크 시간 -긴 시간 3. 기억속의 시간 현재는 순식간에 과거가 된다. 결국 현재라는 시간은 과거의 기억속에 저장 되는 것이다. 기억속의 시간 -> 재정렬 하고 반복 해서 꺼내 보는 작업을 통해 과거의 시간을 다시 현재로 불러 올 수 있다. 시간 활용법 1. 집중 / 이완 40분 집중 / 20분 쉼 타이어 활용 하여 루틴 만들기 4시간 이상 공부 후 -> 장시간 휴식 계획을 잡을 때 70% 정도 수준으로 버퍼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 있게 계획 세우기 40분의 공부 시간은 초집중, 20분 쉼은 쉬면서 틈틈이 생각이음 하기 2. 짬시간 의식적으로 결정 되는 시간 , 예) 출퇴근 시간, 대기 시간, 누군가를 기다리는 시간, 주기적인 짬 시간 주기적인 짬 시간 -> .. 2023. 2. 1.
728x90